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학적 상상력(2) - 사회적 관계, 역사적 상상력
    사회학/사회학적 상상력과 사회학의 관심 2021. 1. 10. 23:05

    ## 사회적 관계와 사회학적 상상력 ##

     사회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개인의 집합체이다. 그래서 사회 속에서 개인의 행위나 경험, 즉 사회생활은 다른 모든 개인의 행위와 그 연관성을 이해하지 안고서는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상호작용하는 개인들의 행위는 이들 간에 형성된 전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위치는 바로 개인들의 근본적 생존기반이 된다. 현실적으로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관계 중에는 이전에 이미 형성된 관계도 있고, 개인의 축생과 더불어 새롭게 형성되는 관계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들이 아무런 원칙 없이 형성되거나 유지되고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다양한 위치를 차지하는 개인들의 행위는 근본적으로 우연성을 띄지만, 이러한 우연성도 사회적 관계의 수준과 내용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다. 그래서 개인적 우연성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를 겪지 않는 좀 더 거시적인 사회적인 관계들은 특정한 방식으로 유지되고 변화하는 경향과 규칙을 유지하게 되는데, 사회학적 상상력은 바로 이러한 경향과 규칙을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사회적 관계

    사회적 관계라고 하면 연인관계, 친구관계, 부부관계, 가족관계, 이웃관계, 친척관계 등과 같은 미시적 관계에서 시장관계, 노사관계, 권력관계, 국제관계 등 거시적 관계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래서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는 매체도 애정, 우정, 핏줄, 화폐, 노동력, 권력, 국가이해, 군사력 등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들은 단순히 사람 사이의 관계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적, 사회적, 물질적, 정신적 조건을 내포하고 있는 관계이다. 그래서 다양한 자원과 규칙의 분배형태에 따라 사회적 관계들은 평등과 불평등, 균형과 불균형, 조화와 갈등, 우호와 적대, 동등함과 지배 등 다양한 성격을 띄게 된다.

     예를 들어, 불평등한 경제적 자원의 분배관계는 어린아이들의 출생에서부터 영향을 미친다. 부모가 부자라면 어머니는 고급 병원에서 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받고 더 좋은 음식을 먹고 더 많은 태교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부모가 맞벌이 노동자 부부라면 어머니는 임신 후에도 먹고 살기 위해 쉬지 않고 직장에 다니며 퇴근 후에도 여전히 가사노동에 시달리고 일반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으며 태교를 위한 시간을 갖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태어난 아이들은 부모들의 불평등한 경제적 능력과 보살핌 속에서 서로 다른 정체성과 성격을 지닌 아이들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이후 교육환경의 차이, 직업선택의 차이 등으로 이어진다.

     결국 사회란 개인들에게 무한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사회가 전체적으로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제한된 기회를 제공할 뿐이다. 이러한 기회의 제한은 무엇보다도 자원총량의 제한과 자원분배 방식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사회와 사회 속의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감정, 의식, 가치, 규범, 의도, 행위, 처지 등이 어떠한 사회적 관계 및 조건 속에서 형성되고 작용하는지를 생각하는 ‘사회학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학적 상상력은 어떻게 하면 사회가 모든 구성원들에게 기회를 공평하게 제공할 수 있는지 나아가 자원과 소득의 공정한 분배를 이룰 수 있을 것인지를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 사회학적 상상력의 세가지 형태 ##

    개인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사고를 넘어서 사회에 대해 좀더 포괄적이고 객관적으로 사고하려면 무엇보다도 자신의 처지를 다른 사람들의 처지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삶과 다른 사람들의 삶, 자기 지역의 생활양식과 다른 지역의 생활양식, 자신의 직장과 다른 사람들의 직장, 자신의 가치관과 다른 사람들의 가치관 등을 서로 비교해본다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달라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왜 사람들은 서로 다른 조건 속에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좀더 체계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영국의 사회학자 기든스(A. Giddens)는 이러한 ‘사회학적 상상력’의 작동방식을 체계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역사적’, ‘인류학적’, ‘비판적’ 상상력이라는 세 가지 형태를 제시하였다.

     

    역사적 상상력  

    먼저 역사적 상상력은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이 과거의 역사적 유산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현재의 생활양식이 과거의 생활양식과 어떻게 다르며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과거에는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오늘날에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2002년 말 현재 인구 전체의 7.5% 이하로 줄어들었다. 과거에는 사람들의 신분이 미리 정해지고 이에 따라 서로 차별화된 생활을 해야 했는데, 오늘날에는 신분에 따른 차별이 없어진 대신 계층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대가족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소가족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비교는 현재 사회의 모습이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변화해갈 것인지를 전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기술진보와 산업화의 진전은 점점 더 나은 상품들을 만들어내면서 점점 더 심하게 환경을 오염시킬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혁명에 따른 정보사회로의 이행은 직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