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3.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11. 7. 01:01
지난번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에 이어 장기보유특별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특정조건을 만족시키면 아예 세금을 내지 않고 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오늘 그 비과세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2. 장기보유특별공제란? 지난번 부동산을 양도함으로써 부과하게 되는 양도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았다. (지난번 내용 아래링크로 확인 가능!)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1.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지난 withharrychoi.tistory.com ※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2021) 1.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 비조정대상지역: 보유 기간 2년 - 조정대상지역: 보유 2년 + 거주 2년 - 9억 초과 고가주택의 경우 9억 초과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2. 장기보유특별공제란?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10. 27. 23:15
지난번 부동산을 양도함으로써 부과하게 되는 양도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았다. (지난번 내용 아래링크로 확인 가능!)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1.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지난번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의 종류를 알아보았었는데, 오늘은 우리가 부동산을 팔고나서 부과해야 하는 양도세에 대해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보자!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양도소득세(부동산): withharrychoi.tistory.com 오늘은 그 양도소득세 계산과정에서 공제하였던 "장기보유특별공제"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장기보유특별공제란? 주택을 오래 보유한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것. (물가상승에 비해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감안해 주는 것)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지, 다주택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혜택이 나뉘게 된다..
-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 : 1. 양도소득세 계산방법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10. 14. 23:18
지난번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의 종류를 알아보았었는데, 오늘은 우리가 부동산을 팔고나서 부과해야 하는 양도세에 대해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보자!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양도소득세(부동산): 재산의 소유권을 양도하면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조세. 양도란 매매, 교환 등으로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유상으로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양도차익(소득)이란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과 필요경비, 공제금액을 뺀 소득이다. 양도소득세 계산 순서 1단계: 양도차익 2단계: 세금 공제 적용(장기보유특별공제, 기본공제) 3단계: 실제 납부할 금액 계산(세율, 누진세액) 1단계: 얼마 벌었는지? (양도차익) “양도가액(팔았을 때의 금액) – 취득가액(샀을 때의 금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 - 양도차익: 다른 사람한테 팔아서 ..
-
부동산 관련 서류 알아보기!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10. 11. 16:46
부동산을 살 때는 반드시 해당 부동산과 관련된 서류를 확인해 봐야 한다. 내가 사려고 하는 부동산의 주인이 누구인지, 권리상 하자는 없는지, 내가 이용하고자 하는데 제한사항은 없는지, 그리고 면적은 정확한 지 등을 확실하게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럼 부동산을 살 때 꼭 확인해야 할 서류들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관련 (공부)서류 한 눈에 알아보기 사용 용도 서류 확인할 수 있는 내용 발급처 건물이 있는 부동산을 살 때 등기부등본 (등기사항전부증명서) 건물 또는 토지 주인이 진짜인지, 구입한 건물을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뺏길 요소가 있는지 정확히 확인 가능 관할등기소, 대법원인터넷등기소 (www.ros.co.kr) 토지를 살 때 건축물대장 건물의 면적, 층수, 구조 등을 확인 가능함. 간혹 부동산 중개업..
-
부동산 세금 종류 알아보기!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10. 11. 16:30
부동산에는 다른 어떤 자산들보다 양도세, 종합부동산세, 상속세 등 다양하고 복잡한 세금들이 존재한다. 현명한 투자 및 내 집 장만을 위해서는 이러한 세금들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부동산 세금에는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부동산 관련 세금 한눈에 알아보기 국세 지방세 취득 시 인지세 취득세 상속세 증여세 보유 시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재산세 처분 시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1. 부동산 관련 세금: 취득 단계 1) 취득세: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지방세인 ‘취득세’가 과세되게 된다. 부동산을 취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취득세를 신고 및 납부하여야 한다. 취득세만 내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농어촌특별세와 교육세가 부가적으로 과세되기 때문에 보통 취득세라고 하면 농특세와 교육세를 ..
-
새 아파트 입주를 위한 필수템, 청약!Harry's 재테크 공부/부동산 Study 2021. 3. 9. 22:06
# 주택청약이란? "새 아파트를 가질 수 있는 권리를 신청하고 받는 것" #주택청약종합저축? 과거에 새 아파트를 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주택청약종합저축 중 골라 가입했다. 그러나 2015년 9월 1일부터 이 4가지 통장이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되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의 혜택 및 가입조건?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함. 단, 1인 1통장만 가능하고 은행이 다르더라도 추가 가입은 불가능함.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에 이미 가입한 사람들은 계속 유지하고 청약도 할 수 있지만, 신규가입은 불가능.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다른 예적금 상품보다 금리가 높고, 소득공제 혜택도 준다. 매월 2~50만원까지(10원 단위까지 납입 가능) 자유롭게 납입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