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현대 서구 사회학의 흐름사회학/서양 근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흐름 2021. 1. 13. 22:08
19세기 유럽에서 발달한 사회학의 고전적 흐름들은 20세기로 넘어오면서 여러 나라에 전파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흐름은 유럽 사회학이 미국으로 전파되고 미국적인 풍토 속에서 가공된 후 다시 세계적으로 전파되어 영향을 미친 것이다. 제2차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세계 최강국으로 등장한 미국은 세계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주도권을 배경으로 사회학을 포함한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국 사회학의 영향 미국의 사회학이 세계적인 사회학의 흐름에 미친 영향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사회학을 대학 내에 독립된 학문 분야로 제도화시켰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화 된 사회학 경향을 제 3세계 국가들과 유럽에 수출, 역수출하여 정착시켰다는 점이다. 사회학의 모국인 유럽에서는 사회학이 덜 전..
-
사회학 고전이론의 흐름(2) - 뒤르켐, 베버사회학/서양 근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흐름 2021. 1. 11. 22:14
## 뒤르켐 ## 사회적 사실과 실증적, 경험적 방법론 프랑스의 뒤르켐은 콩트의 ‘실증철학’을 좀더 체계화한 실증적, 경험적 연구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과학적인 관찰을 위해서 사회현상을 사회적 사실로서 사물처럼 취급해야 하고, 수와 양으로 환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후에 ‘양적 연구방법’ 혹은 ‘양화주의’적 연구방법이라고 불렸다. 그는 또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데 원인을 탐구하는 역사적인 분석만으로는 부족하고 ‘기능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종교, 범죄 등 사회의 각 구성부분들이 전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형성하는 데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런 입장은 오늘날 ‘기능주의’라고 불리고 있다. 아노미와 사회통합 그는 사회가 개인들의 총합이 아니라 그것을 초..
-
사회학 고전이론의 흐름(1) - 콩트, 맑스사회학/서양 근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흐름 2021. 1. 11. 11:58
고전 사회학자들은 새롭게 등장한 사회의 구성, 변동의 원리가 무엇인지를 밝히려고 했다. 콩트는 산업사회의 등장을 정신적 진보의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하였고, 맑스는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 계급투쟁과 같은 역사유물론적 관점에서 사회변동을 설명하면서 당시 사회를 자본주의사회로 규정하였다. 뒤르켐은 분업의 발달과 유기적 연대라는 시각에서 산업사회의 원리를 해명하려고 하였고, 베버는 현대사회의 발전 원리를 합리화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러한 관심의 차이는 결국 현대사회 변동의 원리와 대안사회의 전망에 대한 차이로 나타났다. ## 콩트 ## 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는 프랑스의 콩트에 의해 창안되었다. 그가 사회학, 즉 ‘사회에 대한 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된 주된 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