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사회화의 개념 및 사회화의 과정사회학/사회화, 일탈, 범죄 2021. 1. 16. 17:32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씩 “나는 누구이며, 지금의 나의 모습은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된다. 우선 과거를 돌이켜보면 사람들은 ‘연약한 생물체로서의 인간’으로 태어나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자라났다. 그런 가운데 사람들은 가족, 친척, 친구, 학교, 직장 등 다양한 집단 속에서 살아온 과정의 산물이다. 개개인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감정, 정서, 행동양식, 가치, 규범, 이념을 습득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라난다. 그런데 이 과정이 늘 조화롭거나 평화로운 것은 아니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이런 것들에 대해서는 순응하고, 어떤 것들에 대해서는 저항한다. 그래서 이 과정은 다양한 사회화의 주체들과 내용들 간의 긴장과 갈등을 수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
집단사회와 조직의 유형(2) - 소속감과 정체성, 관료제사회학/사회학 관점에서의 인간과 사회 2021. 1. 15. 22:20
## 소속감과 정체성에 따른 집단의 유형 ## 집단에서의 소속과 정체성 어떤 집단에 속한다고 하는 것은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어떤 가족, 집단, 모임, 직장 등에 속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다수의 집단에 속해 있으면서 다수의 지위를 동시에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집단에의 소속이나 지위들은 개인들에게 일정한 소속감이나 일체감을 형성시킨다. 물론 개인들이 속한 모든 집단이나 지위가 개인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고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출신 집안을 중시하고, 어떤 사람들은 출신대학을 중시하고, 또 어떤 사람은 직업이나 직위를 중시한다. 이러한 집단이나 지위는 경..
-
사회집단과 조직의 유형(1) - 집단, 조직 및 그 유형들사회학/사회학 관점에서의 인간과 사회 2021. 1. 15. 21:36
사회 속에 존재하는 집단과 조직은 그 유형과 성격이 다양하다. 가족 내의 인간관계나 상호작용은 직장이나 군대의 그것들과 다르다. 과거의 가족에서의 인간관계나 상호작용은 오늘날의 가족에서의 그것들과 다르다. 이처럼 집단이나 조직의 성격은 시대, 목적, 규모 등에 따라서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과 집단의 다양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집단의 유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사회집단과 조직 ## 집단과 사회 앞서 보았듯이 사회는 다양한 수준의 결사체를 아우르는 말이다. 가족, 이웃, 직장, 지역, 국가, 세계는 모두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집단도 그 중 하나이다. 집단이란 ‘여럿 가운데 하나를 이루는 무리’를 가리키는 말로, 반드시 사람들의 집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사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