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사회란 무엇인가? (2) - 통합론과 갈등론, 행위와 사회적 상호작용사회학/사회학 관점에서의 인간과 사회 2021. 1. 14. 21:49
## 통합론과 갈등론 ## 사회를 실재론적 관심으로 보든 명목론적 관점으로 보든,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 즉 개인들 또는 집단들의 상호관계와 상호작용이 서로 통합적, 순응적인가 아니면 갈등적, 적대적인가 하는 점에서 또 다시 학자들 간의 견해가 엇갈린다. 통합론적/기능주의적 입장 실재론적으로 사회를 파악하는 학자들 중에도 파슨스를 비롯한 ‘구조기능주의’ 입장의 학자들은 사회를 균형이 있고 잘 통합된 전체로 본다. 즉 비록 부분적인 긴장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인 개인, 집단, 조직이 사회의 문화나 규범이 기대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여 균형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통합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론적, 균형론적 관점은 사회를 이루고 있는 여러 부분요소들이 전체사회의 안정적..
-
사회란 무엇인가? (1) - 사회의 이해사회학/사회학 관점에서의 인간과 사회 2021. 1. 14. 21:23
‘사회’라는 말은 오늘날 ‘봉건사회’, ‘지역사회’, ‘국제사회’ 등 여기저기 일반화되어 적용되고 잇따. 하지만 영어의 ‘association’이나 ‘society’, 독일어의 ‘gesellschaft’에서 출발한 ‘사회’는 서양이 중세 말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말인 동시에 하나의 근대적인 역사 현상이었다. 그 핵심적 의미는 “사람들이 모여서 어울림”, 그리고 “사람들이 어울리는 모임”이라는 데에 있었다. 그러니까 그것은 사교, 모임, 결사화, 회사, 사회 등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고, 그런 사교와 모임들이 실제적인 현상으로 활발히 나타난 데에서 사회라는 용어도 생겨나게 되었다. 2차적 결사체로서의 사회 이 사교와 모임들에서 특히 새로운 점은 잘 ‘서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모인다는 점, ..
-
한국의 사회학사회학/서양 근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흐름 2021. 1. 13. 22:31
미국 사회학의 영향 한국에서 사회학의 제도화는 1940년대 말부터 미국의 영향하에서 이상백, 이해영 등의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한국의 사회학에서는 미국적인 경향 속에서 1960년대 말까지 미국의 주류 사회학이었던 구조기능주의와 실증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연구 분야로는 당시 한국사회의 과제를 반영하는 것들, 특히 인구, 가족, 농촌, 도시, 근대화 등이 주축을 이루었다. 사회학자 양성도 미국 유학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고, 이들이 사회학계를 주도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광복 이후 1970년까지 이루어진 사회학적 연구 가운데에는 농촌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3 정도를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농촌개발에 초점을 두었으며, 구조기능주의의 시각에서 사회를 전통사회와 근대사회로 구분하고..